- 전체기사
- 경계의 건축 이야기
- 건축물은 저마다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다. 국가나 지역에 따라 환경이 다르기 때문이기도 할 테고, 집을 짓는 사람과 사는 사람의 생각이 또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장소마다 각기 다른 건축물이 ..
이형주/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네덜란드에서 만난 커뮤니티 디자인
-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은 제주도 농촌마을계획 컨설팅이다. 일거리 없다고 하는 건축·조경·도시와는 달리 농촌 마을(도시 포함)만들기는 요즘 가장 핫(?)한 업이고, 정부의 예산이 쏟아지고 있는 ..
황아미/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푸른도시선언 전략계획 발표
- 지난 2월 3일 서울시와 공공조경가그룹(위원장 김인수)은 ‘푸른도시선언 전략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전략계획은 지난 해 4월 선포한 ‘푸른도시선언’의 철학과 메시지를 정책화한 것으로, 42인의 공공조경가그..
김정은/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마코코 수상 학교
- 마코코 수상 학교는, 급격한 기후 변화의 위기와 도시화를 맞고 있는 아프리카의 상황에서 물리적·사회적 요구가 무엇인지 제시해주는 플로팅 구조체의 표준모델이다. 이 구조체는 수변 마을에 최근..
NlÉ/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타임스퀘어 보타이
- 4천만 달러를 쏟아 부은 마이클 블룸버그Michael Bloomberg 뉴욕 전 시장의 역작, 브로드웨이 보행 광장의 타임스퀘어 구간 1단계 공사가 마무리되어 지난 2013년 12월에 공공에 오픈했다. 뉴욕 시..
조용준/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100 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사 #8 조용한 멕시코 혁명
//2014년3월0호
- 100 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사 #8 조용한 멕시코 혁명
- 실물은 멕시코에 있으므로 직접 보기 쉽지 않지만 조경을 전공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어디선가 한번쯤은 사진으로라도 접해보는 것이 루이스 바라간의 정원이다. 벽 위에 높게 매달린 좁은 수로를 통..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100 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사 #7 1968년 세대
- 20세기 조경사를 연구하다 보면 이상한 현상과 만나게 된다. 1970년, 1980년대에 이렇다 할 작품이 없는 것이다. 생태의 물결에 밀렸다고는 하나 그렇다고 조경가들이 모두 놀고 있지는 않았다. 할 ..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100 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사 #6 르 코르뷔지에, ..
- 업적보다 명성이 앞서는 인물들이 있다. 스위스 출신의 유명한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1887~1965)가 바로 그런 케이스인 듯하다. 물론 그가 20세기 건축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스튜디오 201, 설계를 다시 생각하다 (3) 분석만 하기
- 대상지, 그 진부함또 대상지에 대한 이야기인가? 미안하지만 이제 대상지 이야기는 그만 들어도 될 것 같다. 학교를 다니는 내내 대상지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지겹도록 들어왔다. 선생님들은 늘 말..
김영민/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백년 동안의 고독, 마술적이고 신화적인 ..|조경가의 서재
- 누구에게나 글을 읽기 시작한 이후로 한두 권의 책은 가슴에 남아 있는 법이다. 이번에 소개하는 책은 사실 조경이나 인접 전공 분야와 크게 관련이 없음을 미리 밝혀둔다. 초등학교 2학년 때쯤이었..
진양교/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감성과 물성 사이|그들이 설계하는 법
- 1 쌀 540g, 콩나물 데친 것 100g, 애호박 200g, 고사리 삶은 것 150g. 여기에 사골육수 800ml, 육회 150g, 미나리 데친 것 100g, 도라지 100g, 마른 표고버섯 물에 불린 것 10g, 무 채 썬 것 80g, ..
박승진/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조경의 경계를 넘어, 조경 속으로(3)
- 아티스트의 작업들은 프로젝트에 몰두한 디자이너가 미처 깨닫지 못한 감수성을 확장해 왔다. 자연과 도시경관에 대한 개입을 통해 환경을 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 온 크리스토 & ..
최이규/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스튜디오: 환경 문제와 도시설계|아시아 디자인 리포트: 프놈펜과 다낭
- 지난 해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김세훈 교수와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윤정원 교수는 ‘베트남-캄보디아의 비정형적 커뮤니티: 환경 문제와 도시설계’라는 이름으로 도시설계학전공 수업을 진행했..
김세훈ㆍ윤정원/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