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대구정원박람회에 바란다

김수봉 계명대학교 생태조경학과 교수, 대구그린트러스트 공동대표
라펜트l김수봉 교수l기사입력2022-02-14
대구정원박람회에 바란다


김수봉 계명대학교 생태조경학과 교수
대구그린트러스트 공동대표
대구정원박람회 추진위원회 부위원장


대구광역시는 올해 10월 개최를 목표로 작년부터 <대구정원박람회>를 준비하고 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난해 송년 기자간담회에서 2022년에는 대구에서 처음으로 정원박람회를 개최하고, 안심습지-하중도-달성습지를 잇는 생태공간을 지방정원으로 조성하여 장래에는 국가정원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는 계획을 밝혔다.

대한민국 1호 국가정원은 순천만국가정원이다. 2013년 당시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의 성공적인 개최 이후 순천만국가정원에는 당초 목표였던 방문객 400만 명을 훨씬 뛰어넘었다. 순천만국가정원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가 연간 1,800억 원이라고 하니 정원의 경제적 가치와 파급효과는 우리의 생각보다 크다. 바야흐로 정원이 대세인 시대다.

전 세계인들에게 생활문화로 자리 잡은 정원(庭園)은 인류의 잠재된 경작본능을 기반으로 건강과 삶의 질을 개선하는 해결책이면서 이제는 거대한 산업으로 성장하였다. 정원산업은 크게 식물소재, 정원자재, 정원 도구와 용품, 정원 시설과 가구, 정원 전문관리 서비스, 애완동물, 정원정보 등 7가지 부문으로 분류된다. 해외 정원산업 시장의 규모는 현재는 500조 원 이상으로 예상되며, 국내 정원산업은 2025년까지 2조 원 규모로 시장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외국의 정원산업이 생활문화로 정착하면서 가정용품으로까지 산업 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지원책 미비로 정원시장의 90%가 식물소재와 정원자재가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개정으로 정원산업 육성을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 국내 원예, 화훼, 조경 산업 종사자들의 정원산업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대구는 지난해 7월 대구광역시의회 홍인표 의원이 대구시 정원문화 진흥을 위해 대표 발의한 「대구광역시 정원문화 육성 및 진흥 조례」가 본회의를 통과하여 대구에서도 정원문화와 산업이 뿌리를 내릴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이 조례도 생활 속 정원문화 확산과 정원문화산업 진흥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여 시민의 복리 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시민의 복리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정원문화와 산업을 결합시켜 정원의 사회적 기여와 공익적 역할 제고뿐만 아니라 젊고 지속 가능한 일자리를 창출하는 새로운 미래 산업으로 육성 필요하다. 대구의 잠재된 정원 인프라를 거점으로 지방정원을 조성하여 3년 후 국가정원으로 지정을 받아 문화와 산업을 융합한 정원산업 육성을 통해 국제 정원산업 시장에 도전해야 한다. 정원산업을 활성화시키는 <하드웨어 분야>가 지방정원을 조성하는 것이라면, <소프트웨어 분야>는 정원박람회의 개최다. 대구의 정원박람회는 국내 정원박람회 규모로 시작하여 중장기적으로는 국제 정원박람회 규모로 확대시켜야 한다. 문화와 산업은 병행되어야 하며, 산업이 없는 문화는 모래 위에 집을 짓는 것과 같다. 정원산업의 하드웨어인 지방정원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인 정원박람회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정원박람회의 양대 산맥은 영국의 첼시 플라워쇼(Chelsea Flower Show)와 독일의 분데스가르텐샤우(Bundesgartenschau: BUGA)다.

영국의 첼시 플라워 쇼는 왕립원예협회(Royal Horticulture Society)에서 주관하는 박람회 성격의 플라워 쇼다. 런던 템스강변 첼시 지역에서 해마다 열리는 꽃 박람회로, 1862년 영국 그레이트 스프링 쇼에서 유래하였다. 1913년부터 첼시 지역에 있는 왕립병원의 정원으로 전시장을 옮겨 지금에 이른다. 첼시의 경우는 ‘꽃 전시회’라는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원예 산업 육성에 큰 비중을 두고 있다. 매년 5월 하순부터 5일간 같은 장소에서 열린다. 우리나라의 많은 도시들의 정원박람회는 신품종 전시나 화훼류 판매 등에 비중을 둔 영국식 플라워쇼를 벤치마킹하고 있다.


독일은 정원박람회를 통해 도시 재생이나 새로운 녹색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독일의 경우는 매년 정원박람회의 개최지가 다르다. 박람회는 중앙 정부 차원에서 2년에 한 번씩 열리는 연방 정원박람회(Bundesgartenschau: BUGA)와 10년에 한 번씩 열리는 국제 정원박람회(Internationale Gartenbau Ausstellung: IGA)가 있다. 또한 BUGA나 IGA와는 별도로 지방자치단체의 주관으로 여러 도시에서 지방 정원박람회(Landes Garten Schauen:LAGA)가 열리고 있다. 박람회 기간은 4월부터 10월 중순까지이다. 박람회의 장소는 대부분 폐광 지대나 과거 비행장이었던 지역 또는 도시의 낙후된 공원 등 다양한 곳이 박람회 장소로 선정된다. 박람회 후에는 지역주민들을 위한 공원이 되거나 새롭게 단장되어 도심의 녹색 인프라로 남겨둔다. 독일의 정원박람회는 지역주민을 위한 쾌적한 녹지공간의 조성을 뛰어넘어 다채로운 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주민들이 여가활동을 통하여 서로 만나서 문화와 예술을 체험할 수 있는 도시공간을 창출한다. 

대구의 정원박람회는 기존 다른 시도의 정원박람회 방식인 단순한 신품종 화훼류의 전시나 유명작가들의 정원조성을 벗어나 독일의 정원박람회처럼 도시의 재생으로 이어져야 한다. 정원박람회를 통하여 새로운 녹색 인프라를 구축하고 시가 추진하는 탄소중립 정책과 연계하는 행사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정원박람회를 통한 도시재생의 가시적인 성과를 올리기 위하여 대구시에서 일방적으로 정책을 수립하여 행사지역 구청에게 협조를 구하는 정책 방식은 지양되어야 한다. 대구시와 대구정원박람회 추진위원회가 중심이 되어 지역 전체를 아우르는 하나의 청사진을 가진 도시재생 사업의 비전 및 도시재생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구청은 지역의 정체성, 도시적 배경과 특성, 역사성, 사회적 의미에 맞는 현실적인 도시재생사업을 수립하고 제안하여야 한다. 추진과정에서 지역주민의 다양한 요구와 지역전문가들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어 도시재생사업을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는 중장기 사업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다음으로 정원박람회가 정원문화주도형 도시재생이 되기 위해서는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 시설이나 건물 건립과 같은 하드웨어의 설치는 지양되어야 한다. 지역의 정서와 기억이 남아있는 예컨대 골목공간을 정원문화를 담을 수 있는 장소로 재활용할 수 있는 전략을 발굴하고 수립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원을 도입한 골목공간의 재생과 같은 정원문화주도형 도시재생사업은 그 지역의 도시맥락적인 특성, 주변 문화시설을 고려한 배치계획 그리고 그린네트워크와 같은 다양한 도시 및 조경디자인 기법을 적용함과 아울러 적극적으로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정원문화 프로그램을 발굴하고 개발하여야 한다.

정원박람회 행사를 통하여 조성된 여러 유형의 정원이나 녹지는 도시의 녹색 인프라로 남아 대구의 미기후 개선, 미세먼지와 도시열섬의 저감, 탄소중립 등 환경의 개선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대구정원박람회의 성공적인 개최와 금호강 지방정원의 조속한 조성에 시민들의 많은 관심과 협력을 기대한다.
_ 김수봉 교수  ·  계명대학교
다른기사 보기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